1장. 어린 시절


<내 고향 야목리>

나의 고향은 100여 호의 농가가 모여 사는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야목리다. 마을 사람들은 대부분 초가집에서 소작을 부치며 살았지만 우리 집안은 제법 많은 땅을 가진 부자였다.

할아버지는 대대로 물려받은 땅을 소작으로 주고 첩실을 거느리며 한가롭게 한량으로 살다가 내가 다섯 살 나던 해에 돌아가셨다. 훤칠한 키에 호남이었던 아버지는 승지 벼슬까지 지낸 집안의 외동딸을 아내로 맞아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나는 그중 차남이다.

장남인 아버지는 고등교육을 받기 위해 도시로 나갔다가 대를 잇기 위해 야목리로 돌아왔지만 집안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아버지는 말이 없는 분이었고 어린 나에게 야단 한 번 친 적이 없었다.

아버지는 손님 같은 분이었다. 제사와 명절날에만 집으로 돌아왔다가 제사가 끝나기 무섭게 땅 문서를 챙겨들고 나갔다. 아버지는 무슨 일인가에 열정을 쏟고 있었지만 가족들은 그게 무슨 일인지 몰랐다. 그렇게 몇 해가 지나자, 우리 집은 손바닥만 한 밭을 낀 초가집에서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로 몰락해 있었다.


더듬어 보면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언제나 단편적이다. 후레 내가 일본에서 귀국해서 집에 머물러 있을 때의 일이다. 가난한 살림살이에 장독이 하도 많아 호기심이 생겨 하나씩 열어 보았다. 맨 뒷줄의 큰 장독 안에 책이 몇 권 들어 있었다. 책은 보통 장독에 넣어 보관하지 않는다. 무언가 특별한 사정이 있는 물건이다 싶어 남이 불세라 주위를 살치며 책을 꺼내 얼른 방으로 들어갔다. 붉게 장정을 한 표지에 '조선독립소요사'란 글씨가 눈에 들어왔다. 총독부에서 발행한 것으로 조선의 독립운동 단체에 대한 자세한 기록들이었다. 

  보통학교를 다닐 때의 일이다. 언젠가 백발이 성성한 외조부님이 나를 곁에 두고 혼잣말처럼 푸념하섰다. 

 "애비 때문에 네가 고생이구나. 되지도 않는 일을 한다고 저렇게 다니면서 가족의 생계는 뒷전이니…'

  외할아버지는 뭔가 알고 계신 것 같은데 끝내 그것을 들어 보지는 못했다. 아버지는 무슨 일을 하셨던 걸까? 조선의 독립운동 단체에 대한 기록을 왜 숨기고 있었던 걸까? 해방 이후 최근까지 아버지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해 기회가 될 때마다 각종 독립운동 기록을 찾아보았지만 아버지의 이름은 어디에도 나오지 않았다.

  어머니는 그런 아버지에게 싫은 내색을 한 번도 하지 않았다. 어머니는 승지 벼슬을 지낸 대쪽같은 성품의 외할아버지 슬하에서 전통교육을 받으며 자란 분이다. 위로 오라버니 하나를 두고 외동딸로 고이 자라 조씨 문중의 며느리가 되었다. 어머니는 온화하고 정갈하신 성품으로 큰살림을 하실 때에도 집안에서 거친 소리 한 번 낸 적이 없었다.

  밤이면 호롱불 아래 다소곳이 앉아 바느질을 하거나 편지를 쓰곤 했다. 

  내가 보통학교를 들어갈 무렵 우리는 살던 집에서 나와 방 두 칸과 광이 딸린 초가집으로 이사를 해야만 했다. 부자는 망해도 삼 년이 간다지만 우리는 하루아침에 끼니를 걱저앻야 할 처지로 몰락해 버렸다. 이사한 집은 장마에 흙담이 내려앉아 집 안이 훤히 들여다보였다. 

  그 집에서 어머니는 어린 나와 여동생을 위해 바느질을 하고 이 집 저 집에서 쌀을 꾸고 군불을 지필 솔가지를 장만하고 작은 텃밭을 일구었다. 양갓집 살림 살던 분에게는 적응하기 힘든 변화였지만 힘든 내색 한 번 하지 않았다.

  큰집 살림을 할 때 마을 사람들에게 인심을 얻었던 터라 어려운 처지를 당해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너나없이 가난한 살림었지만 작은 정성만으로도 큰 힘이 되었던 때다.

  외가에서 학교에 다니던 형은 한 달에 두어 번 집에 왔는데 그저 보는 것만으로도 좋았다. 얌전한 여동생은 한없이 곱게만 보였다.


  한없이 어질고 자애롭게만 보이던 어머니는 심지가  곧고 사려 깊은 분이었다. 후일, 내가 일본에서 막 돌아왔을 때다. 큰 뜻을 품고 거사를 준비하던 중에 마음이 혼란스러웠던 적이 있다. 젊은 혈기에 일을 허술하게 처리했다가는 하루살이로 사라질 수도 있던 때였다. 어머니는 내 표정에서 심란함을 읽으셨는지, 하루는 조용히 나를 불렀다.

  "마을 젊은이들이 모두 징벙으로 끌려가더구나."

  "…예."

  "뜻을 세웠으면 밀고 나가거라. 떳떳하게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이 남자다운 게다."

  너무도 의외였다. 어머니의 말씀에 머리가 맑아졌다. 후에도 삶의 고비가 올 때마다 이 말씀을 떠올리며 나를 가다듬었다. 어머니는 내게 대쪽 같은 의지를 심어 주셨던 것이다. 어머니는 내 마음의 고향 같은 분이다.


  야목리 농가의 9할이 소작농이었다. 자기 땅이 있다고 해도 자급할 능력이 되는 집은 두어 가구에 불과했다. 수원 갑부 양승관이 마음 땅 대부분을 소유했고 마름을 두어 관리했다. 마름 집 앞마당에 있는 커다란 창고는 추수 때가 되면 쌀가마니로 그득했다. 마을의 쌀이 모두 그곳으로 모이는 것 같았다. 마음 사람들의 생활은 형편없었다. 두어 벌 바지 저고리에 짚신 차림으로 한 해를 나고, 겨울이면 동상으로 발이 퉁퉁 부어 있었다. 먹고사는 일이 빠듯해서 하루 세끼 챙겨먹는 생활은 엄두도 내지 못했다. 쌀 두어 줌에 나물을 넣어 밥을 지었다. 나물에 밥이 몇 알 달린 나물밥이었다. 사정이 이러하니 쌀을 팔아서 돈을 준비한다는 건 상상하기 어려웠다. 월사금 20전을 감당하지 못해 보통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예닐곱 명에 불과했다.

  

  매송면에 있는 매송보통학교는 전교생이 300여 명인 작은 규모의 학교였다. 보통학교는 원래 6년제였으나 매송보통학교는 4학년이 최고 학년이었다. 교과서는 모두 일본어로 되어 있었고, 음악 시간에는 일본 동요만 불렀다. 매일 아침마다 열리는 조회시간에는 운동장에 열 맞춰 서서 일본인 교장의 잔소리를 들었다. 마음에 와닿지도 않았고 재미도 없었다. 일주일에 사나흘은 솔방울 공출을 하러 나갔다. 오전부터 수업은 제쳐 두고 농가에서 공출해 온 가마니를 끌고 산에 올라가 온 산을 훑었다. 공출이 없는 날은 1인당 솔방울 한 자루씩을 가져와야 했다. 학교생활은 지루함의 연속이었다.

  내가 유일하게 흥미를 붙인 과목은 조선어였다.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글로 대한다는 게 재미있었다. 따로 복슴을 하지 않아도 보는 즉시 머릿속에 들어왔다.


  야목리에서 학교까지는 십여 리 길로 한 시간을 걸어야 했다. 다침에 마을 아이들이 모여 함께 등교했는데, 어머니가 옆집에서 쌀을 꾸어다 아침을 준비하는 날은 여지없이 지각이었다.

  어릴 때부터 야단 한 번 맞아 본 적 없었는데 학교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지각대장에 몇 달씩 월사금을 내지 못했으니 매일 친구들 앞에서 망신을 당했다. 회초리를 맞거나 교실 뒤에서 벌을 서며 수업을 들어야 했으니 죽을 맛이었다. 학교 가기가 지옥 가는 것만큼이나 싫었다. 차라리 학교를 그만두고 싶었지만 어머니에게 말을 꺼낼 용기가 나지 않았다.

  그러다 꾀를 냈다. 집에서는 평소처럼 책보를 메고 나와서는 마을 앞 모퉁이를 돌아서면 곧바로 산으로 올라갔다. 산에서 진달래로 따먹고 핅도 캐고 바람에 나뭇잎이 서걱거리는 소리를 듣다 보면 한나절이 금방 지나갔다. 배꼽시계가 요란할 즈음이면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왔다. 아이들과 함께 마을로 돌아오면 누가 보아도 하굣길이라 여길 것이 분명했다.

  "등산대장! 오늘은 또 산에서 뭐 하고 놀았어?"

  일주일에 3일은 산에서 어슬렁거리며 내려오는 나를 두고 아이들은 등산대장이라고 불렀다.

  "내일은 조선어 시험인데 학교 올 거지?"

  "응."

  선생님에게 모진 소리를 들어도 조선어 시간이 있는 날은 아침부터 서둘러 학교에 갔다. 그나마 퇴학당하지 않고 학교를 다닐 수 있었던 것도 조선어 시간이 일주일에 3일이나 되었기 때문이다. 

  그럭저럭 3학년 1학기를 마칠 무렵이었다. 그날도 또래 녀석들과 자치기를 하다가 우물가에서 물을 두 바가지나 마시고 들어왔다. 굴뚝에서 연기가 올라오지 않는 날은 물로 배를 채우고 일찍 잠드는 것이 상책이었다.

  "문기 들어왔니? 이리 좀 건너오거라."

  방으로 들어서는데 안방에서 어머니가 불렀다. 어머니의 목소리가 낮게 깔린 게 심상치 않았다. 학교에 안 가는 게 들킨 게 아닐까 하여 겁이 났다. 방문을 열다가 깜짝 놀랐다. 소반 위에 약식과 백설기, 곶감 같은 큰집 제사 때나 볼 수 있는 음식들이 놓여 있었다.

  "왜 이리 늦은 게야? 어서 들어와서 저녁 먹어라."

  생각하지도 못했던 일이 벌어진 터라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방 안을 살펴보니 여동생이 어머니 다리를 베고 잠들어 있었고 반닫이 옆에는 작은 봇짐이 놓여 있었다.

  "월사금 때문에 학교 다니기 힘들었지? 말 안 해도 다 안다. 이제부터 월사금 걱정 안 해도 된다. 내일 외가댁 으로 가자."

  다음 날 나는 어머니를 따라 외가댁으로 갔다. 가난에 고생하는 시집간 딸의 어려움을 덜어 주고자 나를 데려오라 한 것이었다.

  수원까지 30리 길을 걷는 동안 어머니의 표정을 심란해 보였지만 나는 내내 들떠 있었다. 이제는 월사금 때문에 망신을 당하지도, 끼니때 우물가에서 물배를 채우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에 그저 신나기만 했다. 당시로서는 그 이상 바랄 것이 없었다.

+ Recent posts